노트북 와이파이 속도 인터넷 스피드 2배 이상 빨라지는 4가지 방법

와이파이 속도가 느린 이유

  • 전파의 간섭으로 인한 속도 저하 : 공유기와 노트북 사이 물리적인 거리 중간에 벽이나 사물이 많이 막혀있으면 간섭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최대한 공유기와 가깝고, 중간에 막힘이 없는 위치가 와이파이 신호를 받기 가장 적절한 곳입니다. 벽이 1~2개만 있어도 와이파이 신호가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 공유기 송신의 문제 : 공유기에서 전송해주는 와이파이 신호 자체가 느린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공유기가 송신한 신호를 받을 수 있는 기기 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A 공유기에서 보낸 무선인터넷은 최대 4대의 기기만 수신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5번째의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은 무선인터넷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이런 경우는 공유기 자체 성능의 문제입니다.
  • 노트북 와이파이 수신기 성능 및 설정 문제 : 와이파이 신호를 받는 수신기의 설정 값이 잘못되어 있거나, 수신기의 성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 수신기 자체 성능이 좋지 않은 경우는 와이파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 위 3개의 원인으로 인해 와이파이 속도가 느려지게 되는 것입니다.

와이파이 속도 측정 사이트

본인의 와이파이 속도를 측정하여 현재 빠른 상태인지 느린 상태인지 확인해보세요 (아래 링크 클릭하여 와이파이 속도 무료로 측정하기 ↓)

▲무료 속도측정▲

와이파이-속도-측정-방법

와이파이-속도-측정-방법

와이파이 속도 빨라지는 방법

속도가 빠른 와이파이 신호 연결하기

속도가 빠른 와이파이를 연결해서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하면 됩니다. 인터넷 속도 빠른 와이파이를 판단하는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먼저 와이파이 이름 뒤에 보면 2.5GHz, 5GHz 라는 글자가 있는데요. 2.5GHz는 속도가 느리지만 멀리 도달하고, 간섭에 방해를 덜 받습니다. 5GHz는 속도가 빠르지만 짧은 거리에서만 연결이 잘 되며 벽이나 장애물이 있으면 수신이 잘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결하는 환경에 따라서 2.5GHz, 5GHz를 잡아서 사용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와이파이 신호가 좋은 것을 사용합니다.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서 와피아리를 잡을 때 와이파이 신호가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본적으로 와이파이 신호가 약하면 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DNS 캐시 플러싱

이 단어 자체를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DNS 캐시 플러싱은 DNS 캐시를 정리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DNS 캐시는 무엇일까요?

DNS 캐시

우리가 “네이버”에 접속할 때 https://www.naver.com 으로 입력해서 사이트에 접속을 하죠? 하지만 실제 네이버의 주소는 https://125.209.222.142 입니다. 원래는 이렇게 IP주소를 입력해서 네이버 사이트에 접속을 해야 하지만 외우기 어려워서 www.naver.com 이라고 이름을 붙여준 것입니다. 이것을 도메인이라고 합니다. www.naver.com 을 인터넷 창에 입력하면 DNS 서버에서 자동으로 125.209.222.142로 바꿔서 접속을 하게 해줍니다.

하지만 매번 우리가 요청한 값이 DNS 서버에 갔다가 오는 것을 반복하면 시간이 많이 걸리죠. 그래서 이런 불편함을 줄일 수 있도록 컴퓨터 내부에 “www.naver.com의 실제 주소는 124.209.222.142야” 라고 별도로 내 PC에 값을 가지고 있게 되었습니다. 이 것이 바로 DNS 캐시 입니다.

DNS 캐시 플러싱

DNS 캐시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도메인 주소의 실제 주소를 기록해둔 파일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이 파일을 정리하는 것이 DNS 캐시 플러싱 입니다. 캐시를 정리하게 되면 속도가 빨라지고 보안향상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DNS 캐시 플러싱 하는 방법

  1. 키보드의 win + r 눌러서 실행창을 띄웁니다.
  2. cmd라고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검은색 창이 뜹니다.
  3. ipconfig/displaydns 라고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4. 리스트가 쭉 뜨는데요. 여기에 보여지는 리스트가 PC에 저장된 DNS 캐시 리스트 입니다.
  5. 이 리스트를 모두 다 지워서 인터넷 속도를 향상 시킬 것입니다. DNS 캐시 리스트를 삭제한다고 해서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6. ipconfig/flushdns 라고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
  7. 그러면 내 PC에 저장된 DNS 캐시가 모두 삭제 완료 되었습니다.
  8. 창을 닫고 인터넷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DNS-캐시-플러싱-방법

DNS-캐시-리스트-확인하기

DNS-캐시-리스트-확인하기

DNS-캐시-플러싱-방법

DNS 주소 수정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DNS서버에 접근을 해서 주소를 가져온다고 했죠? DNS 서버에 접근해서 주소를 가져오는 속도가 빠르면 인터넷 속도도 훨씬 빨라집니다. 그래서 우리가 어떤 DNS 서버에 접근해라 라고 지정을 해주면 속도가 조금 더 빨라지게 됩니다. DNS 주소 수정방법은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DNS-주소-변경-방법

DNS-주소-변경-방법

DNS-주소-변경-방법

DNS-주소-변경-방법

DNS 서버 주소는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구글 DNS 서버 주소

  • 기본 DNS 서버 : 8.8.8.8
  • 보조 DNS 서버 : 8.8.4.4

SKT DNS 서버 주소

  • 기본 DNS 서버 : 219.250.36.130
  • 보조 DNS 서버 : 210.220.163.82

KT DNS 서버 주소

  • 기본 DNS 서버 : 168.126.63.1
  • 보조 DNS 서버 : 168.126.63.2

LG 유플러스 DNS 서버 주소

  • 기본 DNS 서버 : 164.124.101.2
  • 보조 DNS 서버 : 203.248.252.2

와이파이 전송 전원 조절하기

아마 이 방법은 잘 모르실텐데요. 와이파이 전송전원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노트북에 부착된 와이파이 수신모듈의 전원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전원을 낮게 설정해두면 인터넷 속도가 느려집니다. 요즘은 데스크탑 메인보드에도 무선인터넷 수신모듈이 부착되어있죠? 전송전원 파워를 높여 와이파이 모듈이 신호를 더 잘 받을 수 있도록 설정 하는 것입니다.

와이파이 전송전원 높이는 방법

  1. 윈도우10, 윈도우11 모두 동일한 방법입니다.
  2. 바탕화면 아래에 보면 시작표시줄이 있는데, 여기 검색창에 “장치” 라고 검색을합니다.
  3. 검색결과로 나온 장치 관리자를 클릭합니다.
  4. 네트워크 어댑터 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아래쪽에 하위 항목들이 보입니다.
  5. 하위 항목들 중에서 이름에wirelss 라는 글자가 들어간 항목을선택하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6. “속성” 을 선택합니다.
  7. “고급”탭을 선택하고, 전송 전원 항목을 찾아서 선택합니다.
  8. 오른쪼에 값을 “5. 최고”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하단에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윈도우-장치-관리자

와이파이-속도-전송전원-조절

와이파이-속도-전송전원-조절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