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샌드박스
윈도우 샌드박스는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가상 윈도우 서비스 입니다. 윈도우에서 하나의 윈도우를 더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 쉽게 말해서 컴퓨터에서 하나의 컴퓨터를 더 실행할 수 있는 모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컴퓨터를 켜면 윈도우에 접속을 하죠? 접속 된 상태에서 샌드박스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되면 추가로 하나의 창이 더 실행되면서 그 안에서 샌드박스 윈도우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샌드박스 윈도우에서 설치, 실행, 할동한 모든 것들은 샌드박스 창이 꺼지는 순간 모두 삭제가 됩니다. 그래서 샌드박스 창을 다시 켜면 이전에 설치했던 프로그램, 접속 기록들은 하나도 확인할 수가 없습니다.
참고로 샌드박스 모드는 저장공간 약 35GB, RAM 4GB 정도 제공이 됩니다.

샌드박스 활용도
- 의심스러운 파일 실행 :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로 의심되는 파일이 있으면 먼저 샌드박스 pc에서 실행을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샌드박스 모드로 켜져있는 창을 끄면 샌드박스에서 실행했던 모든 것들은 사라지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됩니다.
- 기록으로 남기기 민감한 것들 실행 : 단 한번만 접근해야 하는 정보, 일회성 정보, 컴퓨터에 접속 및 접근 기록을 남기기 민감한 것들은 샌드박스 모드에서 실행을 하면 안전합니다. 그 이유는 샌드박스 창을 끄면 기록들이 모두 날아가기 때문인데요. 물론 기록은 내 컴퓨터에 남지 않는 것이지 웹사이트의 겨우 그 사이트 서버에는 접근 기록이 남겠죠? 이건 어쩔 수 없습니다.
- 프로그램 설치 테스트 : 샌드박스 모드에서 프로그램 설치해서 미리 테스트 해볼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잘 구동이 되는지, 설치는 잘 도는지 미리 확인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용량이 너무 큰 프로그램은 설치가 불가능 합니다.
윈도우 샌드박스 사양
- Windows 10 1903 빌드 18305 이상 또는 Windows 11
- Pro 이상 에디션 및 64비트 버전 (홈 버전 및 32비트는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음)
- BIOS에서 사용하도록 설정된 가상화 기능
- 최소 4GB RAM(8GB 권장)
- 1GB 이상의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SSD 권장)
- 두 개 이상의 CPU 코어(하이퍼 스레딩이 권장되는 4개 코어)
윈도우 샌드박스 활성화 방법
- 윈도우11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면, 화면 하단의 시작표시줄에 검색창에서 Windows 기능 이라고 검색을 합니다.
- 그러면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라는 검색결과가 보일텐데, 이를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 스크롤을 밑으로 내리면 Windows 샌드박스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체크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 그리고 PC를 재부팅 합니다.
- 재부팅 후 다시 화면 하단의 시작표시줄 옆의 검색창에서 sandbox 라고 검색을 합니다.
- 검색 결과로 Windows sandbox 라는 항목이 보여집니다. 이를 클릭하여 실행하면 됩니다.



샌드박스 활성화가 되지 않는 경우
샌드박스를 지원하지 않는 윈도우 버전
윈도우 버전별로 샌드박스를 지원하는 버전이 있씁니다. 일단 윈도우7은 지원을 하지 않으며, 윈도우10 1903 빌드 18305 버전 이상부터 지원이 가능합니다. 본인의 윈도우 버전을 확인하고 사용해애 합니다. 윈도우 버전은 win + r 누른 후 실행창에서 winver 입력하면 현재 PC의 윈도우 버전 확인이 가능합니다.
BIOS에서 가상화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BIOS에서 가상화 지원 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 윈도우 샌드박스 모드를 실행할 수 업는데요. 이런 경우는 BIOS에 들어가서 설정을 바꿔주셔야 합니다. BIOS에서 CPU 항목의 Virtual이라는 설정값이 있는데, 이를 활성화 해줘야 합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메인보드 제조사 마다 모두 다릅니다.
내 PC의 메인보드 제조사 및 성능을 확인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확인해보세요. (아래 링크 클릭하여 PC 사양 및 성능 확인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