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설치 전 필요사항
- 데이터 백업 : 만약 사용하던 PC에 윈도우를 신규로 설치할 예정이라면 PC 내부의 중요한 자료는 별도로 백업을 해두셔야 합니다. 윈도우를 설치하게 되면 내부 데이터가 삭제되기 때문입니다. 외장하드나 클라우드(N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 드로박스 등)에 데이터를 백업해두셔야 합니다.
- 윈도우가 설치된 부팅 USB ; 윈도우 설치는 부팅 USB로 진행을 합니다. 따라서 윈도우 설치파일이 마운트 되어있는 부팅 USB가 필요합니다.
부팅 USB 만드는 방법
혹시 부팅 USB를 만드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부팅 USB를 만들어 보세요. (아래 링크 클릭하여 윈도우 설치 USB 만들기 ↓)
윈도우 설치하는 방법
- 컴퓨터 전원을 끈 상태에서 윈도우 부팅 USB를 꽂습니다.
- 컴퓨터 전원을 켜자마자 F8을 연타 합니다. (제조사 마다 버튼이 다릅니다. 어떤 PC는 F2, 다른 PC는 F10, Delete 버튼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F2, F8, F10, Delete 버튼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 내가 평소에 보지 못한 화면이 나왔을 것입니다. 바로 BIOS 세팅 화면인데요. 여기서 우리는 부팅 순서를 변경해 줄 것입니다.
- 컴퓨터가 부팅할 때 C드라이브가 아닌 USB로 부팅이 되도록 설정을 해야 합니다.
- 제조사 마다 화면은 다르지만 대부분 Boot Configuration 또는 Boot Option 항목에 들어가서 부팅 순서를 현재 꽂은 USB를 가장 먼저 설정 합니다.
- 변경 후 F10(Save changes)를 선택하여 저장 후 종료합니다.
- 그러면 C드라이브에 설치된 윈도우가 부팅되지 않고 USB에 있는 윈도우 설치 파일이 실행됩니다.
- Windows 설치라는 팝업창이 뜨는데, 여기서 다른 설정 변경하지 말고 하단의 다음 버튼 클릭합니다. 그리고 지금 설치 버튼 클릭합니다.
- 다음 화면에서 혹시 윈도우 시디키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오면 제품 키 없음 클릭합니다.
-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입니다. 원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음 클릭합니다.(이 과정은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분들은 다음 순서를 진행하면 됩니다.)
- 동의함 체크하고 다음 클릭합니다. 하단의 사용자 지정 : Windows만 설치(고급)을 선택합니다.
- 윈도우 설치할 저장공간 위치를 설정하는 화면입니다. 여기서 드라이브를 잘 지정해야 설치가 문제없이 진행이 됩니다.
- 설치할 드라이브를 찾고, 해당 드라이브를 모두 삭제한 다음 새로 만들기 버튼을 활용해 드라이브 크기를 설정해 줍니다.(하단에 그림과 함께 자세히 설명을 해 두었으므로, 잘 모르는 분들은 스크롤을 내려서 아래쪽 참고하시면 됩니다.)
- 지정한 드라이브 중 적당한 파티션을 선택하여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usb에 있는 윈도우 설치파일이 pc에 설치 진행이 됩니다.
-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을 하고 신규 설치된 윈도우가 부팅이 됩니다.
BIOS 부팅 설정
먼저 부팅 USB를 꽂고 컴퓨터 전원을 켜자마자 F2, F8, F10, Delete 버튼 중 하나를 연타 합니다. 제조사 마다 BIOS 들어가는 버튼이 다릅니다. 예를들어 F2를 연타했는데, 일반적인 윈도우 화면이 뜬다면 컴퓨터를 끄고 다시 다른키를 연타해서 평소에 보지 못했던 화면(BIOS 세팅 화면)을 접속하도록 해야 합니다. 계속 연타를 하면 이상한 화면이 보일 건데요. 여기서 부팅을 HDD나 SSD에 있는 윈도우가 아닌 USB에 있는 윈도우 설치파일로 부팅하도록 변경을 해야 합니다.
Boot Configuration 또는 Boot Option에 보면 부팅 순서를 변경하는 항목이 있습니다. 여기서 부팅을 SSD나 HDD가 아닌 USB로 변경을 해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F10을 누르면 변경사항이 저장 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재부팅을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부팅 USB의 윈도우 설치 파일을 읽습니다.



윈도우 설치 드라이브 찾기
아래 그림과 유사한 화면을 보시게 될건데요. 아래 그림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드라이브 0번에 파티션이 총 3개로 나눠져 있습니다. 드라이브 0번은 물리적인 저장장치 이며, 파티션은 논리적으로 드라이브를 나눈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보시면 물리적인 저장장치는 총 2개 입니다. (드라이브 0번과 드라이브 1번)

여기서 C드라이브가 어떤 것인지 찾아야 하는데요. 각 드라이브의 전체 크기 합계를 계산해 보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의 경우 드라이브 0번의 전체크기 합계가 약 60GB정도 되고, 드라이브 1번의 경우 합계가 약 15GB 정도 되죠. 그러면 여기서 드라이브 0번이 C드라이브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인 PC의 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 저장장치의 전체용량을 대략적으로 알고 있으면 아래 그림에서 어떤 것이 C드라이브 인지 파악하기 쉽습니다. 만약 어떤것인지 정확하게 모르겠다고 하시는 분들은 아래 그림에서 더 이상 진행하지 마시고, 창을 끄고 진행을 종료합니다. 그리고 재부팅이 될텐데 USB를 뽑고 정상 재부팅을 하여 내 컴퓨터 C드라이브 용량이 얼마인지 직접 확인하고 오시면 됩니다.

C드라이브 포맷 및 초기화 하기
C드라이브를 찾았다면 해당 드라이브의 항목을 모두 삭제 해주셔야 합니다. 아래 그림에서는 드라이브 0이 C드라이브 이므로 총 3개의 항목을 각각 클릭하여 드라이브 0을 모두 삭제했습니다. 그러면 드라이브 0 할당하지 않은 공간 이라는 항목이 신규로 생성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드라이브 0번을 선택하고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눌러서 C드라이브 용량 크기를 지정하면 됩니다. 잘 모르는 분들은 지정되어 있는 값을 변경하지 말고 적용 버튼 클릭하면 됩니다. 혹시 C드라이브 크기를 분할하고 싶으시면 크기를 조절하시면 됩니다.

할당된 C드라이브 중 원하는 파티션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면 됩니다.


아래 그림처럼 보이면 윈도우 설치가 진행 중이며, 윈도우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재부팅을 하게 됩니다. 재부팅 후 설치된 윈도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